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

자연과 지질,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진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청송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 로고이미지

청송국가지질공원 인증(2014. 4.11. 환경부고시 제2014-62호)
- 우리나라 4번째, 내륙 중심형 지질공원으로는 첫 인증
- 청송 국가지질공원 재인증(2019. 6. 28.)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 최초인증 : 2017. 5. 5. ~ 2020. 12. 31.
- 재인증 : 2021. 1. 1. ~ 2024. 12. 31.

청송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 홈페이지

지질공원현황

  • 명칭 : 청송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Cheongsong UNESCO Global Geopark)/청송국가지질공원(Cheongsong National Geopark)
  • 총면적 : 846.12㎢(청송군 전체)
  • 인구수 : 25,623명(외국인 포함)
  • 지질명소 : 24개소
  • 지질학적 특징에 따라 주왕산 권역과 신성계곡 권역으로 나뉨
    • 주왕산 권역 : 역동적인 화산 활동의 증거를 만나볼 수 있는 곳.
      화산이 폭발하면서 분출된 암석 파편화 화산재가 쌓이고 굳어진 후, 오랜 시간에 걸쳐 물과 바람 등에 의해 풍화되어 만들어짐
    • 신성계곡 권역 : 지구 자연환경의 역사를 만나볼 수 있는 곳.
      자갈, 모래, 진흙이 쌓이고 굳어진 퇴적암이 풍화와 침식을 받아 만들어짐
      • 주왕산
      • 백석탄
  • 안내센터
    • 주왕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
    • 신성계곡 녹색길 안내센터(신성학습관)
    • 하의리 안내센터(관광안내센터)
  • 추진경과
    • 2010년 8월 :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 정책선언
    • 2011년 12월 : 세계지질공원 등재 추진 타당성 조사용역
    • 2012년 12월 : 세계지질공원 등재 추진 기초학술 조사용역
    • 2013년 8월 : 청송지질공원 관리계획 수립
    • 2013년 12월 : 청송국가지질공원 신청서 제출
    • 2014년 2월 : 지질공원위원 및 전문위원 합동 현장실사
    • 2014년 4월 : 청송국가지질공원 인증고시(환경부고시 제 2014-63호)
    • 2015년 5월 : 세계지질공원 신청 후보지 심의 통과
    • 2015년 11월 :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신청서 제출
    • 2016년 1월 ~ 4월 : 유네스코&국제지질학연합(IUGS)합동 서면평가
    • 2016년 7월 :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평가위원 현장평가
    • 2016년 12월 :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권고 결정
    • 2017년 5월 :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확정(2017.5.5. ~ 2021.5.4. / 4년간)
    • 2019년 1월 : 청송 국가지질공원 재인증을 위한 관리운영 현황 보고서 제출
    • 2019년 4월 : 청송 국가지질공원 재인증을 위한 지질공원위원회 현장점검
    • 2019년 6월 : 청송 국가지질공원 재인증
    • 2020년 1월 :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을 위한 경과보고서 제출
    • 2022년 9월 : 현장평가
    • 2022년 12월 :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임시회의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 심의 – 그린카드 의견
    • 2023년 5월 :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최종이사회 – 재인증 확정
    • 2023년 6월 : 유네스코 ⇒ 청송군 재인증서 수령
      ※ 2021. 1. 1. ~ 2024. 12. 31. / 4년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서

인증서
인증서
재인증서
재인증서

담당자
관광정책과 주성옥
(☎ 054-870-6111)
최종수정일
2023-06-21 14:43:26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