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암관리

사업 목적

국가 암검진 사업을 통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원 1위인 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유도함으로써 암의 치료율을 높이고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고자 함.

국가 암검진

암검진 종목별 대상 기준

암검진 종목별 대상 기준(암종, 검진대상, 검진주기, 검진방법)
암종 검진대상 검진주기 검진방법
위암 만 40세 이상 남녀 2년 기본검사 : 위내시경검사
(단, 위내시경검사를 실시하기
어려운 경우 위장조영검사를
선택적으로 시행)
간암 만 40세 이상 남녀
간암발생고위험군
(간경변증이나 B현 간염
바이러스 항원 또는 C형
간염바이러스 항체 양성으로
확인된 자)
6개월 간초음파검사 +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
대장암 만 50세 이상 남녀 1년 분변잠혈검사 : 이상소견시
대장내시경검사
(단, 대장내시경을
실시하기 어려운 경우
대장이중조영검사 선택적 시행)
유방암 만 40세 이상 여성 2년 유방촬영술
자궁경부암 만 20세 이상 여성 2년 자궁경부세포검사
폐암 만 54세 이상 만 74세
이하의 남·여 中 폐암 발생
고위험군
2년 저선량흉부 CT

국가 암검진 대상자

국가 암검진 대상자
구분 대상
건강보험가입자 2022년도 암검진 대상자 중 부과보험료 기준(`21.11월)에 해당되는 자
(직장가입자 : 월 108,000원 이하, 지역가입자 : 월 102,500원 이하)
의료급여수급자 2022년도 암검진 대상자 전체

실시기간

국가 암검진 실시기간
구분 대상 실시기간
1단계 검사 각 암종별 실시 2022.12.31.일까지
2단계 이상 검사
(위암, 대장암, 폐암)
  • 1단계 검사결과 이상소견자에게 실시
  • 위암 : 위장조영검사 결과 위암의심 또는 위암 판정자
  • 대장암 : 분변검사결과 반응있음, 대장조영검사 결과 대장암의심 또는 대장암 판정자
  • 폐암: 1단계 검사 수검자는 이상여부와 관계없이 실시
2022.12.31.일까지

종목별 검진비용

  • 건강검진(일반검진,생애전환기건강진단) : 공단 전액 부담
  • 암검진 : 공단 90%, 수검자 10%부담(단, 자궁경부암, 대장암은 공단 전액 부담)
    ※ 국가 암검진사업 대상자는 본인부담금(10%)을 국가와 지자체에서 부담
    ※ 의료급여수급권자의 검진비용은 전액 국가 및 지자체에서 부담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 암 현황 통계
1.인구현황 : 총 인구 25,678명[남 12,762명, 여 12,946명]
2.통계한눈에보기
- 총 발생자수 209명 
- 총 사망자수 101명
연령표준화 발생률 329.7명/십만명
연령표준화 사망률 117.1명/십만명
3.암종별 발생자 현황
-기타암 66명(31.6%), 위암 43명(20.6%), 대장암 30명(14.4%), 간암11명(5.3%), 폐암27명(12.9%), 갑상선암
6명(2.9%), 유방암 10명(4.8%), 자궁경부암 3명(1.4%), 전립선암13명(6.2%) 
4.성별 암종별 발생 수준 비교
-전립선암(남 24.7), 자궁경부암(여4.5), 유방암(여 73.2), 갑상선암(남 19.3 / 여 24.0), 폐암(남 34.4 / 여 14.7), 간암(남 20.3 / 7.5), 대장암(남 70.2 / 여 33.1), 위암(남 79.7 / 여 24.3) 
5.암종별 사망자 현황
-기타암 27명(26.7%), 폐암25명(24.8%), 위암 16명(15.8%), 대장암 7명(6.9%), 간암15명(14.9%), 췌장암
11명(10.9%)
6.성별 암종별 사망 수준 비교
-전립선암(남 4.9), 폐암(남 40.8 / 여 16.3), 췌장암(남 14.1 / 여 9.4), 위암(남 28.6 / 여 4.2), 대장암(남 15.6 / 여 4.2), 간암(남 35.0 / 여 6.2)

검진기관

검진기관
검진기관명 주소 검진항목 전화번호
청송군보건의료원 경북 청송군 청송읍 금곡리 의료원길 19 일반건강검진
위암, 자궁경부암
054-870-8141

※ 국민건강보험(☎ 1577-1000)에서 확인 및 문의 가능

이동출장검진기관

  • 경북도립안동노인병원
  • 인구복지협회
  • 건강검진협회
  • 포항중앙의원
  • 기타검진기관

건강검진

고혈압, 당뇨병 등 심뇌혈관질환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 및 관리로 연계함으로써 건강증진 도모

일반건강검진

일반건강검진

일반건강검진
구분 대상기준 실시주기
건강보험 가입자 소계    
지역가입자 짝수연도 출생 세대주 만 20세 이상 짝수연도 출생 세대원 2년/1회
피부양자 만 20세 이상 짝수연도 출생 피부양자 2년/1회
직장가입자 비사무직 근로자 전체 사무직 근로자 중 짝수연도 출생자 1년/1회
2년/1회
의료급여 수급권자 만19세 ~ 만64세 짝수연도 출생자 2년/1회

※ 사업 시행주체 : 국민건강보험(건강보험가입자) 시․군․구 보건소(의료급여수급권자/국민건강보험기관이 위탁수행)

의료급여생애전환기검진

의료급여생애전환기검진
구 분 대상기준
의료급여수급권자
  • 만 66세 이상(1954.12.31. 이전 출생자)
  • 짝수연도 출생자

일반건강검진 검사항목

의료급여생애전환기검진
항목구분 검진항목 및 대상기준
공통항목
(18개)
진찰 및 상담, 신체계측(신장 및 체중, 허리둘레, 비만도), 시력, 청력 검사, 혈압측정, 흉부방사선 검사,
혈액검사(혈색소, 공복혈당, AST, ALT, -GTP, 혈청크레아티닌, e-GFR), 요검사, 구강검진
의료급여생애전환기검진
항목구분 검사항목 및 대상기준
성,연령별
항목
(11개)
이상 지질 혈증 총콜레스테롤 남성 만24세 이상
여성 만40세 이상
(4년 주기)
남성(만24. 28..)
여성(만40, 44...)
H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LDL콜레스테롤
B형간염 항원,항체 만40세 보균자, 면역자제외
골밀도 검사 만54세, 66세 여성  
인지기능장애 만66세 이상(2년 주기) 만66세, 68, 70...
정신건강(우울증) 만20,30,40,50,60,70세  
생활습관평가 만40,50,60,70세  
노인신체기능검사 만66,70,80세  
치면세균막검사 만40세 구강검진

※ 성 연령별 항목은 당해연도 기준 연령자만 대상, 전년도 미수검자 추가등록시 ‘검사불가’

의료급여생애전환기검진 항목

의료급여생애전환기검진 항목
구 분 검사항목 및 대상 기준 비고
진찰 및 상담
신체계측
시력,청력검사
대상 전체 신장 및 체중, 허리둘레, 비만도
골밀도 검사 만 66세 여성
인지기능장애검사 만 66세 이상(2년주기) 만66, 68,7 0...
정신건강검사 만 70세
생활습관평가 만 70세
노인신체기능검사 만 66, 70, 88세

영유아 건강검진

영유아 월령에 적합한 검진 프로그램 도입으로 영유아의 성장발달 사항을 추적관리하고 보호자에게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영유아 건강증진 도모

건강보험가입자와 피부양자

건강보험가입자와 피부양자(구분, 대상)
구 분 대상
1차 건강검진 생후 14~35일
2차 건강검진 생후 4~6개월
3차 건강검진 생후 9~12개월
4차 건강검진 생후 18~24개월
구강검진 생후 18~29개월
5차 건강검진 생후 30~36개월
6차 건강검진 생후 42~48개월
구강검진 생후 42~53개월
7차 건강검진 생후 54~60개월
구강검진 생후 54~65개월
8차 건강검진 생후 66~71개월

의료급여수급권자

의료급여수급권자
구 분 대상 대상자수
1차 ~ 8차 생후 14일부터 71개월까지 10명

학생 건강검진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생활습관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치료하여 학생의 건강유지 및 건강증진 도모

검진대상

  • 대상학년 : 초, 중,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각종학교의 초1,4/ 중1/고1학년(학교 보건법 제7조)

학년별 건강검진 항목

  • 일반+구강검진 : 초등학교 1,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 학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일부 항목만 적용
    학년별 건강검진 항목
    구 분 초등학교 1학년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년별
    해당 항목
    혈액형 검사 색각검사 - 색각 검사
    - 간염 검사
    - 결핵 검사
    - 결핵검사
    - 혈색소 검사(여학생)
    경도비만 이상학생은 혈액 검사 (혈당, 총콜레스테롤, AST, ALT)
    공통항목 근․골격 및 척추, 눈․귀․코․목․피부, 구강, 기관능력, 소변검사, 혈압
  • 구강검진 : 초등학교 2, 3, 5, 6학년(특수․각종학교 해당학년 포함)
  • 검사 방법 및 검사 결과 판정기준은 교육부장관이 정한 검진결과 항목별 판정기준을 적용

전립선 건강검진

  • 사업목적 : 전립선 질환의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로 건강 생활 영위
  • 대 상 자 : 50 ~ 70세 의료급여수급권자
  • 검진인원 : 30명
  • 검진항목
    • 1차검진 : 3종목(문진 및 상담, 혈중 PSA검사)
    • 2차검진 : 2종목(직장수지검사, 전립선초음파)
      ⇒ 1차 검진 결과 유소견자에 대하여는 2차 정밀검진 실시
  • 검진방법 : 이동 순회검진
  • 검진기관 : 인구보건복지협회 경북지회
  • 사후관리
    • 유소견자의 정밀검진 결과 전립선암 확진시 전문의료기관과 연계
    • 일반질환자는 전문의 처방 및 지속적인 사후관리 실시

문의전화 : 건강증진과 ☎ 054-870-7282


담당자
건강증진과 김지원
(☎ 054-870-7282)
최종수정일
2022-06-07 09:42:31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