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사회서비스(개인 또는 사회 전체의 복지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제공되는 국가 또는 지역서비스)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방의 자율성을 강화한 수요자 중심의 공급체계

아동・청소년심리지원서비스

이용자 대상

  • 만 2세 이상 ∼ 만 18세 이하의, 다음 어느 하나를 충족하는 문제행동 위험군 중 서비스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아동․청소년(기준중위소득 160% 이하)
    • 발급일로부터 1년 이내의 의사 진단서・소견서, 임상심리사 소견서, 청소년 상담사 소견서, 정신 보건센터장의 추천이 있는 경우
    • 초・중등교육법에 의한 정교사, 전문상담교사, 보건교사, 유치원장, 어린이집 원장 추천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사업안내」의 아동・청소년 심층사정 평가도구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한 검사 결과 절단점 이상인 경우)
      단, 영육아발달지원서비스, 장애아동발달재활서비스와 중복지원 불가

서비스 기간 및 횟수

  • 12개월 , 재판정 1회(총 2년 가능)
  • 월 4회 (주 1회) - 회당 50분

서비스 내용

  • 기본 서비스
    • 언어프로그램 : 언어장애에 대한 개인의 내적・환경적 원인을 분석, 증상별 치료 계획을 수립, 적절한 치료로 잠재적 언어 능력을 극대화시켜 의사소통을 향상
    • 인지프로그램 : 아동의 발달수준과 개별적 특성에 적합한 목표를 설정하여 아동의 인지발달을 촉진시켜 학습에 어려움을 갖는 아동의 인지발달 향상
    • 미술프로그램 : 다양한 미술매체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창의적 표현과 더불어 자존감 향상 및 감각 발달 향상 등
  • 부가 서비스 : 아동 및 부모를 위한 심리상담(서비스 제공시 10분 내외로 제공)

서비스 가격

구분,1등급(수급자, 차상위),2등급(중위소득 120% 이하 중 수급자, 차상위가 아닌 자),3등급(중위소득 120% 초과 ~160% 이하)의 서비스가격표
구분 1등급(수급자, 차상위) 2등급(중위소득 120% 이하
중 수급자, 차상위가 아닌 자)
3등급(중위소득 120% 초과
~160% 이하)
180천원 180천원 180천원
정부 지원금 162천원 144천원 126천원
본인 부담금 18천원 36천원 54천원

농어촌 아동·청소년을 위한 생활스포츠지원사업

  • 서비스 대상 : 만7세 ~ 만 16세
    (비만지수 20% 이상 혹은 –10% 이하의 허약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경도 이상의 비만아동, 필요 시 건강관리가 필요한 허약한 아동도 포함)
  • 서비스 기간 : 12개월(1회 재판정 가능)
  • 서비스 횟수 : 회당 240분 / 월 4회(주1회)
  • 서비스 내용
    • 스트레칭, 기초체력훈련, 타격연습, 수비연습, 포지션별 연습 등
  • 서비스 가격 : 230천원(정부지원금 207천원, 본인부담금 23천원)

노인인지재활서비스

  • 서비스 대상 : 만 65세 이상 노인으로서, 기준중위소득 140% 이하 또는 기초연금 수급자 가구
  • 서비스 기간 : 12개월(1회 재판정 가능)
  • 서비스 횟수 : 회당 90분 / 월 8회
  • 서비스 내용
    • 사전서비스 : 노인체력평가, 인지평가
    • 기본서비스 : 전산화인지재활훈련, 운동재활, 레크레이션
  • 서비스 가격 : 110천원(정부지원금 100천원, 본인부담금 10천원)

장애인·노인을 위한 돌봄여행서비스

  • 서비스 대상 : 만 65세 이상 노인으로서, 기준중위소득 140% 이하 또는 기초연금 수급자
  • 서비스 기간 : 서비스 신청 후 3개월 이내
  • 서비스 횟수 : 평생 1회
  • 서비스 내용 : 전문 돌봄 인력이 동반하는 1박 2일 국내여행

서비스 가격

구분, 1등급~4등급의 장애인·노인을 위한 돌봄여행서비스 가격표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180천원 170천원 150천원 74천원
정부 지원금 155천원 145천원 125천원 62천원
본인 부담금 25천원(수급자 12.5천원) 25천원(수급자 12.5천원) 25천원(수급자 12.5천원) 12천원

지원방식

  • 바우처 카드발급(등기, 반송시 거주지 읍・면사무소)
  • 본인부담금 : 서비스 가격에서 바우처 지원액을 제외한 금액
  • 처리절차 : 서비스 신청(읍・면) → 확인 및 조사(군) → 결정통지 → 바우처카드 발급 및 송부 → 서비스 제공기관과 계약 → 서비스 실시

기준 중위소득 140% (2023년 기준)

가구원수,소득기준,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혼합)의 서비스 가격표(단위 : 원)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인 2,910,000 103,263 39,753 104,294
2인 4,839,000 173,332 128,505 175,359
3인 6,209,000 222,624 187,378 226,361
4인 7,562,000 272,226 249,281 278,492
5인 8,863,000 320,126 305,817 332,208
6인 10,120,000 359,887 354,030 379,133
7인 11,351,000 403,785 402,840 434,962
8인 12,582,000 476,875 481,248 521,613
9인 13,814,000 521,613 527,523 563,270
10인 15,045,000 563,270 570,140 625,329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신청방법

  • 신청권자 :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본인 또는 그 친족 후견인(친족 및 후견인은 위임장 지참)
  • 신청기간 : 연중
  • 신청장소 : 서비스 대상자 거주지 읍·면사무소
  • 제출서류 : 신분증, 신청서, 서비스 대상자가 등재된 건강보험증,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가족관계증명서, 기타 증빙서류 등

문의

  • 사회복지과 희망복지지원팀(☏870-6177)
  • 읍・면 사무소 사회복지팀

담당자
사회복지과 이하정
(☎ 054-870-6177)
최종수정일
2023-02-23 21:08:21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