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성공가이드
귀농결심
정보수집
사전에 귀농귀촌 관련 지자체, 단체 등에서 교육과 상담을 받고 선배 귀농인을 찾아 필요한 정보를 수집해야한다.
자금확보(기반시설투자비 + 3년 생활비 = 귀농자금)
- 안정적인 정착 시기까지 여유자금 확보 시련 극복의 경제적 버팀목
- 귀농초기는 농가소득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 생활비는 각자 가정의 현재 사정에 따라 책정
가족동의
-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족들과 충분희 의논한 후 합의를 해야 한다.
- 가족의 적극적인 동의는 어려운 고비를 넘어설 수 있는 힘이 된다.
작목선택
- 자신(가족)의 건강, 적성 기술 수준, 자본 능력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작목 선택
- 작목의 선택에 따라 거주지가 결정
- 10, 20년 뒤에도 영농이 가능한지 생각할 것
영농기술습득
- 농업기술센터, 귀농 교육기관 등에서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이나(멘토 따라하기) 선도 귀농농가 견학, 현장 체험을 통해
충분히 농업 기술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정착지 물색
- 선정된 작목에 적합한 입지·영농 여건 및 교육·생활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착지를 물색하고 결정해야 한다.
농지주택확보
농지확보 먼저
- 주택신축 등 농업기반 이외에 투자하면 훗날 농업기반 확보에 자금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우선 농업기반 확보에
투자를 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현장 사전답사
- 선정작목에 적합한 농지의 등기부등본 및 토지대장 등을 확인 후 현장 답사를 통해 구입 또는 임차하여야 한다.
영농계획수립
- 그동안의 습득한 영농기술과 정보를 바탕으로 영농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영농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작게 시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