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 기능별 주요내용
구분 |
주요내용 |
재난상황관리 |
- 다수기관 수행 전반적 재난관리활동 지원·조정
- 재난안전대책본부 및 수습본부 운영
- 재난진행상황 등 모니터링결과 보고·전파
- 대처상황보고서 등 상황보고서 관리
- 학교휴업, 도로 통제, 예찰 등 권고
|
긴급생활안정지원 |
- 재난발생지역 세제·금융지원, 전기·통신료 감면
- 긴급생활안정지원체계 구축 및 가동준비
- 부처별 긴급생활안정 지원정책 확인 및 시행준비
- 재해구호물자 및 임시주거시설 긴급지원 준비
- 재해구호물자 응원 등 유관기관 상호협력체계 확인
- 이재민 구호비용(재난지원금, 재해구호기금) 지출 준비
- 피해지원 정책 종합 홍보 사전준비
|
긴급통신지원 |
- 긴급구조기관, 긴급구조지원기관간 정보통신체계 운영
- 재난발생시 통신시설 침수·파손 등 통신두절 대비
- 신속한 상황관리를 위한 기관별 비상연락망 정비
- 긴급통신 지원을 위한 통신 공동활용자원 파악
- 전력시설 파괴로 인한 통신시설 전력공급대책 마련
- 전용회선 등 기간통신사업자 통신망 두절 대비
|
시설 응급복구 |
- 피해시설 응급복구
- 군부대, 공공·유관기관 및 민간업체 협정체결을 통한 비상시 긴급투입 가능한 응급복구 장비·물자 보유현황 파악
- 재난발생 즉시 동원 가능하도록 관련기관에 준비지시
|
에너지 기능 복구 |
- 가스·전기·유류 등 피해시설 기능 회복 지원
- 에너지 기능 고장으로 인한 피해 예측
- 신속한 상황관리를 위한 비상연락망 점검
- 대규모 에너지 시설물 피해대비 응급복구체계 점검
- 인명구조현장, 이재민수용시설의 에너지 지원준비
- 에너지 단절시 국민행동요령 홍보 실시
|
재난관리자원지원 |
- 방재자원 공동활용체계 구축을 통한 신속한 자원배분
- 평상시
- 군부대, 공공·유관기관 및 민간업체와 협정체결을 통한 비상시 긴급투입 가능한 응급복구장비·물자 보유현황 파악
- 재난특성에 맞는 방재자재 비축 조치
- 상호협력기능별로 필수장비 확보
- 장비동원 준비 및 관계기관·단체 등과 사전 협약
- 재난 발생시
- 재난 대응 유관기관 비상근무체계 유지
- 피해예상지역 부족자원(물자·장비 등) 동원대책 수립
|
교통대책 |
- 교통수단 지원
- 유관기관 및 지자체 비상연락체계 가동
- 교통시설물 응급복구 인력·장비 동원태세 점검
- 도로 낙석발생, 붕괴우려 급경사지, 침수우려 도로 점검, 우회도로 지정 및 안내간판 등 통제장비 점검
|
의료·방역 |
- 공중보건서비스, 전염병 방역 서비스
- (의료) 보건소, 의료기관 등 비상연락망 점검, 응급 의료물자 비축현황 관리, 전염병 예방교육 및 감시체계 운영
- (방역) 방역물자 비축현황 및 방역요원 비상연락망 정비
|
재난현장 환경정비 |
-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수거·처리 지원
- 임시 적환장(운동장, 공원, 폐기물처리시설) 사전지정
- 과거 사례를 참고하여 재난폐기물 발생량 추정
- 대규모 재난폐기물 대비 장비동원체계 점검
|
자원봉사관리 |
- 재난지역 배정, 자원봉사자 동원, 공공근로 및 기술지원
- 대규모 자원봉사활동 지원을 위한 상황체제 점검
- 자원봉사자 인력활용 준비·점검
- 지역자율방재단 소집을 위한 사전협의 및 인력점검
- 재난안전네트워크 현황 점검
|
사회질서유지 |
- 교통통제, 현장통제, 안전관리, 주민대피
- 재해발생 우려지역 순찰강화 및 출입통제
- 피해지역 범죄예방 및 치안유지
- 재해발생 우려지역 등 사전 교통통제 예상지역 조사
|
수색, 구조·구급 |
- 인명구조, 응급처치, 응급운송, 사망·실종자 수색
- 대규모 피해예상지역 소방력 전진배치 및 현장상황통제관 사전 파견
- 인명피해 발생대비 응급의료기관의 준비상황 및 비상연락망 점검
- 고립지역, 침수지역, 산사태, 화학·방사능 등으로 접근곤란 예상지역 현황파악 및 인명구조·대피계획수립
|
재난수습 홍보 |
- 재난대처 관련 각종 정보 배포·조정
- 재난에 관한 보도자료 작성 및 배포
- 언론사 브리핑 준비 및 실시- 방송사에 자막방송 요청
- SNS 및 외부전광판 홈페이지 등 온라인 홍보- 언론사 인터뷰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