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태풍

태풍이 오기 전에는

  • TV나 라디오를 수신하여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숙지합시다.
  •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 하천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은 미리 준비합시다.
  •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 바람에 날릴 수 있는 것 등을 단단히 고정 합시다.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 합시다.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군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고층아파트 등 대형ㆍ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맙시다.
  •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태풍 주의보 때는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물건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군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집주변이나 경작지의 용·배수로를 점검합시다.
  •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점검합시다.

태풍 경보 때는

  • 주택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합시다.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 합시다.
  • 위험한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 다리는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접근하지 맙시다.
  •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둡시다.

태풍 지나간 후에는

  •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군청이나 읍·면사무소에 연락 합시다.
  •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아무 물을 먹지 마시시고 물은 꼭 끓여 드십시오.
  •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시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손대지 마시고 전문 업체에 연락하여 사용합시다.
  • 사유시설 등에 대한 보수ㆍ복구 시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십시오.
  • 제방이 붕괴될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마시고,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담당자
안전정책과 윤호앙
(☎ 054-870-6787)
최종수정일
2023-02-01 10:49:21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통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