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국거의(爲國擧義)와 충의정신(忠義精神)의 상징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
청송(靑松)은 예로부터 소금강이라 불리우는 주왕산을 비롯하여 전역의 하천 계곡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그리고 동국여지승람에 이르기를 청송의 풍속은 '검소하고 법도(인간 도리)를 잘 지킨다', 또 '사람은 순박하고 습속은 순후하다'라고 기록하고 있다(尙儉率,民淳俗厚). 이와 같이 아름다운 자연에 순후한 인심이 가득한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1418년(세종즉위년) 소헌왕후의 내향인 까닭으로 청보군으로 승격되었다. 1423년(세종 5년) 진보를 분리하고 송생현을 통합하여 청송군을 설치하였다. 1459년(세조 5년) 청송도호부로 승격되어 1895년 청송군으로 환원되기까지 437년간 청송도호부의 위상을 지켜왔다.
청송이 적은 인구에도 불구하고, 경상도 7개 도호부로서의 위상을 437년간 유지해온데는 세종대왕비인 소헌왕후의 빼어난 인품과 더불어,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위난의 시대에 분연히 일어나 의병을 일으켰으며, 퇴계 이황, 학봉 김성일 등 명현거유(明賢巨儒))의 연고지로서 국가의 동량이 되는 인재를 꾸준히 배출하는 등 위국거의와 충의정신을 한결같이 지속해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청송은 인근지역의 중심지 역할
신라시대에는 적선(積善)이라고 불렀고, 한 때 고구려는 현 청송의 일부(파천면)를 '청기현'이라 불렀다. 고려 시대에 부이(鳧伊), 운봉(雲鳳)이라 하였고 고려 성종(982년) 때 청부(靑鳧)라 고쳐 불렀다. 조선이 건국 될 당시 진보현, 송생현과 안덕현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세종3년(1421년)에 송생현과 안덕현이 합치면서 청송은 9개면(부4면, 현5면)의 중심지가 되었다. 1459년(세조 5년) 청송도호부로 승격되어 1895년 갑오경장까지 약 437년 동안 196명의 도호부사가 중앙으로부터 파견되어 근무하였다.
청송도호부의 재현 모습
청송(靑松)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세종3년,1421년)에 청보군(靑寶郡)과 송생현(松生縣)이 합해서 청송군(靑松郡)이 되었다. 청송부읍지(1805년 경)에 의하면 청송도호부에는 청송도호부사 1인(문관종3품)이 중앙에서 파견되어 있었으며, 유향소(향청)에는 좌수1인과 별감2인, 관속으로는 군관25명, 아전44명, 지인(知印)15명, 사령15명, 관노15명, 관비13명이 근무를 하였다.
시대 | 안덕(安德) | 송생(松生) | 청송(靑松) | 진보(眞寶) | 비고 |
---|---|---|---|---|---|
고구려 (高句麗) |
이화방현(伊火芳縣) | 송생현(松生縣) | 청기현(靑己縣) | 칠파화현(漆巴火縣) 조람현(助攬縣) |
|
신라 (新羅) |
연무현(緣武縣) 경덕왕(景德王)때 곡성군(曲城郡) 영현(領縣) (今,안동임하(安東臨河)) |
송생현(松生縣) | 적선(積善) 경덕왕(景德王) 16년(757)에 야성군(野城郡) 영현(領縣) (今,영덕(盈德)) |
진보(眞寶), 진안(眞安) | 진보(眞寶)는 문소군(聞韶郡) (今,의성(義城)) 진안(眞安)은 야성군(野城郡)의 영현(領縣) (今,영덕(盈德)) |
고려 (高麗) |
현종(顯宗)9년(1018) 안동(安東) 예속(隸屬) 안덕(安德) |
현종(顯宗)9년(1018) 예주(禮州)에 속함 (今,영덕(盈德)) 송생현(松生縣) 인종(仁宗)21년(1143) 감무(監務) 둠 |
태조원년(太祖元年)(918) 부이(鳧伊), 又改 운봉(雲鳳) 성종(成宗)1년(982) 청부(靑鳧) 예주(禮州)의 영현(領縣) |
태조7년(924)甫(寶)城府 진보(眞寶), 진안현(眞安縣) 통합 (甫(寶)城府~載岩城) 태조(太祖) 보성(甫城)에 감무(監務)둠 |
|
조선 (朝鮮) |
태조(太祖)3년(1394) 송생현(松生縣), 안덕현(속현) |
태조(太祖)3년(1394) 보성현(甫城縣), 청부현(속현) |
|||
세종즉위년(世宗卽位年)(1418) 청보군(靑寶郡) 현(縣)을 군(郡)으로 승격(昇格) |
심소헌왕후(沈昭憲王後)의 고향임으로 현(縣)에서 군(郡)으로 승격 | ||||
세종(世宗)5년(1423) 청송군(靑松郡) 청보군(靑寶郡)과 송생현(松生縣)을 통합, 진보를 분리 |
세종(世宗)5년(1423) 진보현(眞寶縣) |
||||
세조(世祖)5년(1459)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 군(郡)을 도호부(都護府)로 승격(昇格) |
|||||
성종(成宗)5년(1474)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 진보현이 청송도호부에 속함 |
|||||
성종(成宗)9년(1478)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 진보현이 분리되어 나감 |
성종(成宗)9년(1478) 진보현(眞寶縣) |
||||
근대 (近代) |
1895년 청송군(靑松郡) | 1895년 진보군(眞寶郡) | |||
1914년 청송군(靑松郡) 청송군과 진보군 4개 면을 통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