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

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 청송!

국내2호, 내륙1호, 청송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 주왕산, 청송꽃돌,
법수도석(청송백자원료), 탄산약수, 공룡발자국, 백석탄, 얼음골 등
청송의 지질유산 세계적 가치 입증
지정유효기간(4년) : 2017.5.5 ~ 2021.5.4.

세계지질공원이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과학적 중요성, 희귀성, 시각적인 아름다움, 교육적 가치 등을 지닌 지질유산 지역으로서 지질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고고학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도 함께 지니고 있는 특정 지역으로 보전, 교육 및 관광을 통하여 지역경제의 발전을 도모함을 의미합니다.

세계지질공원의 특성

지질공원은 지역의 지질학적 자원을 생물, 고고, 역사 및 문화 자원과 연계 및 교육관광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질유산을 보전하면서, 지역경제를 발전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즉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세계자연유산 프로그램, 천연기념물 등과는 달리 지질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조화시키는 제도입니다.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현황

  • 면적 : 846.12km²
  • 지질명소 : 24개소
  • 지질시대 분포 : 선캠브리아 시대, 중생대, 신생대
  • 주요 암종 분포
    • 화성암 :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화강암, 섬록암 등
    • 퇴적암 : 응회암, 셰일, 이암, 사암, 역암, 석회암 등
    • 변성암 : 화강편마암, 각섬암, 석회질편암, 대리암 등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효과

  • 지역관광 및 경제 활성화 : 인구 및 관광객 증가, 고용창출 및 소득증대 등을 통한 지속 가능 경제발전 도모
  • 홍보 및 인지도 제고 : 지역브랜드 및 자부심·주민 일체감 향상
  • 기존 공원제도의 한계점 극복 : 보호구역 설정으로 인한 행위제한이나 하향식 지정제도로 인한 저항 등 기존 공원제도에 대한 거부감 최소화

국가·세계지질공원 가입 현황

  • 국가지질공원 : 울릉도·독도, 제주도, 부산, 청송, 강원평화, 무등산권, 한탄강, 강원고생대, 경북 동해안, 전북 서해안권
  • 세계지질공원 : 41개국 147개소
    • 대한민국 4개소 : 제주도, 청송, 무등산권,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 폭포 가는 길
  • 맑은 냇물과 어우러진 자암의 아름다운 경관
  • 여름날의 백석탄계곡
  • 주왕산 3폭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