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 청송!
글로컬 생태관광도시 청송을 위한 도약
주왕산, 청송꽃돌, 법수도석(청송백자원료)
탄산약수, 공룡발자국, 백석탄, 얼음골 등
청송의 지질유산 세계적 가치 입증
2023년 6월 9일, 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으로 재인증
땅과 암석에는 수 억 년의 시간 동안 변화해 온 지구의 역사가 숨어있습니다.
유네스코는 생물의 터전이며 지구 역사를 간직한 암석, 지형 등의 가치와 아름다운 경관을 보존 및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고자
세계지질공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청송은 2017년 5월 5일 국제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 받았습니다.
세계지질공원이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과학적 중요성, 희귀성, 시각적인 아름다움, 교육적 가치 등을 지닌 지질유산 지역으로서 지질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고고학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도 함께 지니고 있는 특정 지역으로 보전, 교육 및 관광을 통하여 지역경제의 발전을 도모함을 의미합니다.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현황
- 면적 : 846km²
- 지질명소 : 기암단애, 청송 얼음골, 신성리 공룡발자국 등 24개소
- 지질시대 분포 : 선캠브리아 시대, 중생대, 신생대
-
특성
- 주왕산 권역에서는 화산폭발로 만들어진 기암 단애, 용추협곡, 청송 얼음골 등의 아름다운 경관을 신성계곡 권역에서는 퇴적물이 쌓여서 만들어진 백석탄 포트홀, 방호정 감입곡류천 등과 공룡의 흔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효과
- 지역관광 및 경제 활성화 : 인구 및 관광객 증가, 고용창출 및 소득증대 등을 통한 지속 가능 경제발전 도모
- 홍보 및 인지도 제고 : 지역브랜드 및 자부심·주민 일체감 향상
- 기존 공원제도의 한계점 극복 : 보호구역 설정으로 인한 행위제한이나 하향식 지정제도로 인한 저항 등 기존 공원제도에 대한 거부감 최소화
국가·세계지질공원 가입 현황(2023.6.기준)
- 국가지질공원 : 13개소(울릉도·독도, 제주도, 부산, 청송, 강원평화, 무등산권, 한탄강, 강원고생대, 경북 동해안, 전북 서해안권, 백령·대청, 진안·무주, 단양)
-
세계지질공원 : 48개국 195개소
- 대한민국 5개소 : 제주도, 청송, 무등산권, 한탄강, 전북서해안권 세계지질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