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사과

재배 기원

제14회 청송사과축제

  • 독립운동가이며 농촌운동가이자, 기독교인이었던 박치환 장로가 1924년 현서면 덕계리에 사과묘목을 들여온 것이 청송사과 재배의 기원이라는 설이 있으며,
  • 안덕면 복리에 살았던 신인수라는 사람이 일본 아오모리현에 있는 어느 레코드 회사에 다니던 중, 출근 길에 사과원이 있어 그 때부터 사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틈틈이 사과재배에 관한 기술을 공부하여 1927년 귀국할 때 600여주의 묘목을 들여와 안덕면 복리의 한 교회터 인근에 5,000여평 규모의 과수원을 조성한 것이 청송사과 재배의 기원이라는 설이 있음
  • 1920년대 청송군에 사과재배가 시작된 지 90여년, 1995년 키낮은 사과가 들어온 지 20년이 채 되지 않은 2022년 현재, 4,085 농가가 3,520ha의 면적에 1,540억원의 소득을 올림으로써 군 대표작목이 되었음

재배·생산 여건

기후적 ‧지리적 등 자연 여건

  • 서쪽의 대륙성 기후와 동쪽의 해양성 기후가 만나는 지역이며, 안동, 영덕, 의성, 영천, 포항 등 인접 시‧군에 비해 해발 고도가 다소 높은 250m 정도의 고지형 분지
  • 낙동강의 상류, 낙동정맥의 서쪽지역에 위치하여 연간 1,000㎜ 정도로 강수량이 비교적 적으며, 생육기간 중 연평균 일교차가 13.4℃로 매우 크므로 경도, 당도, 착색 향상에 매우 유리함

기술적 여건

  • 1995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키낮은 사과원을 도입하였으며, 1999년부터 대묘생산 및 표준과원운영 등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 농업기술센터의 사과대학운영, IPM 단지조성 등 사과 선진 재배기술의 조기도입으로 타지역에 비해 한단계 높은 재배기술을 유지하고 있으며, 1999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110만주 정도의 왜성대목, 50만주 정도의 묘목을 보급해 오고 있음

유통 여건

  • 전국 생산량의 1/10인 59,000톤 정도 생산을 유지함으로 물량기반 확보
  • 2008. 12. 19 지식경제부로부터 청송사과 특구지정
  • 2009년 지역 이미지에 걸맞는 "자연을 노래하다, 청송"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해 오다가 2016년 부터 "청송뜨레"를 공동브랜드로 개발하여 사용
  • 2002년 산지유통센터 건립, 2009년 농‧특산물직판장 건립, 2010. 01월 청송APC 준공, 2011.09월 과채주스공장 건립, 농협, 능금농협 등의 유통시설 확충, 2019. 8월 청송사과유통센터 위탁운영, 2019. 11월 청송군농산물 공판장 개장 운영으로 유통기반 확충 및 산지유통 활성화 기반 마련
  • 특히, 청송사과유통센터, 지역농협 및 능금농협의 APC, 민간 영농조합법인 및 개별농가의 저온저장고 등으로 생산량의 70~80% 정도의 저온저장시설 보유
  • 농림부에서 주최·주관한 농식품파워브랜드 대전에서 2008~2009년 2년 연속 최우수상, 2010년 대통령상을 비롯, 대한민국 대표브랜드대전에서 2013~2022년 까지 10년 연속 대상 수상, 2016년 글로벌브랜드 대상 수상 등으로, 우리나라 최고의 브랜드 가치와 품질의 우수성을 평가받고 있음
  • 당진⇔영덕 간 고속도로 건설로 전국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하고, 세계지질공원, 국제슬로우시티 지정 등과 연계하여 청송사과 홍보에도 유리한 여건을 지니고 있음

인적 여건

  • 농업기술센터에서의 친환경사과대학운영, GAP 인증교육 등 지속적 농가육을 통한 기술 인프라 구축
  • 난립한 생산자 조직으로 인해 조직간 이기 및 개인주의가 만연하고 또 이로 인해 청송사과 생산 및 유통발전이 크게 저해되어, 2009년 청송사과협회를 결성하여 사과산업 공동발전을 위한 생산자 조직중 핵심적 역할을 수행토록 함

재배·생산현황

재배·생산현황 구분, 전국, 경북도, 청송군, 비고의 항목으로 재배·생산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표
구분 전국 경북도 청송군
면적(㏊) 생산량(톤) 면적(㏊) 생산량(톤) 면적(㏊) 생산량(톤) 면적기준 점유율
전국대비 경북대비
2022년 34,603 566,041 21,969 401,471 3,520 61,600 10% 16%
2021년 34,359 515,931 23,013 409,939 3,506 60,822 10% 15%
2020년 31,598 422,115 23,047 403,188 3,354 51,384 10% 14%
2019년 32,954 535,324 19,462 338,085 3,423 60,929 10% 17%
  • ※ 도 기준 재배면적 순위: 1위 청송, 2위 영주, 3위 안동, 4위 봉화

고품질 사과생산을 위한 주요 지원사업

FTA기금 고품질시설현대화사업

FTA기금 고품질시설현대화사업 구분, 사업량(㏊), 사업비(백만원), 비고의 항목으로 FTA기금 고품질시설현대화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표
구분 사업량(㏊) 사업비(백만원) 비고
국비 도비 군비 자부담
계(6종) 150.3 6,595 1,319 593 1,385 3,298
품종갱신 124.5 6,202 1,240 558 1,303 3,101
관수시설 4.9 44 9 4 9 22
지주시설 3.2 67 13 6 14 34
미세살수장치 3.3 18 4 1 4 9
철선울타리 4.8 156 31 14 33 78
방풍망 9.6 108 22 10 22 54

과실·생산 수급 경쟁력 지원사업

과실·생산 수급 경쟁력 지원사업 세부사업별, 단위, 수량, 사업비(백만원), 비고의 항목으로 과실·생산 수급 경쟁력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표
세부사업별 단위 수량 사업비(백만원)
도비 군비 자부담
계(4종) 1,574 184 523 867
농가형 저온저장고 동/33㎡ 33 924 131 331 462
과원전용 농기계 동력제초기·농업용 고소작업차 32 288 32 112 144
승용SS기 16 320 15 65 240
동력분무기·보행SS기 7 42 6 15 21

과실 품질향상 지원사업

과실 품질향상 지원사업 세부사업별, 단위, 수량, 사업비(백만원), 비고의 항목으로 과실 품질향상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표
세부사업별 단위 수량 사업비(백만원)
도비 군비 자부담
계(6종) 3,098 55 1,333 1,710
반사필름 21,000 1,365 546 819
과실봉지 천매 1,700 34 10 24
과원부직포 700 49 15 34
과수전용 소형농기계 120 84 34 50
사과적화제 ha 92 26 4 9 13
과실장기저장제 46,659 1,540 51 719 770

저품위사과 시장격리용 수매비용 지원사업

저품위사과 시장격리용 수매비용 지원사업 수매기관별, 단위(상자), 수량, 사업비(천원), 비고의 항목으로 저품위사과 시장격리용 수매비용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표
수매기관별 단위 수량 사업비(천원) 비고
도비 군비 수매기관
112,600 1,276,000 123,900 349,100 803,000
대구경북능금농협 상자/20kg 82,600 826,000 123,900 289,100 413,000
㈜우양냉동 상자/20kg 30,000 450,000 60,000 3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