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 기원
-
독립운동가이며 농촌운동가이자, 기독교인이었던 박치환 장로가 1924년 현서면 덕계리에 사과묘목을 들여 온 것이 청송사과 재배의 기원이라는 설이 하나 있으며,
- 또한 설은 안덕면 복리에 살았던 신인수라는 사람으로서, 일본 아오모리현에 있는 어느 레코드 회사에 취직하여 다니던 중, 회사 근처에 있던 사과원을 자주 지나다니게 되었고, 그 때 부터 사과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틈틈이 재배에 관한 기술까지 익혀 1927년 귀국할 때 600여주의 묘목을 들여와 안덕면 복1동 교회터 인근의 5,000평 규모의 밭에 사과를 재배하기 시작한 것이 본격적인 청송사과 재배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이 있음
- 1920년대 청송군에 사과재배가 시작된 지 90여년, 1995년 키 낮은 사과가 들어온 지 20년이 채 되지 않은 2019년 현재, 3,979농가가 3,423㏊의 면적에 1,048억원의 소득을 올림으로써, 군내 대표작목이 되어 있음
재배·생산 여건
기후적 ‧지리적 등 자연 여건
- 서쪽의 대륙성 기후와 동쪽의 해양성 기후가 만나는 지역이며, 안동, 영덕, 의성, 영천, 포항 등 인접 시‧군에 비해 해발 고도가 다소 높은 250m 정도의 고지형 분지
- 낙동강의 상류, 낙동정맥의 서쪽지역에 위치하여 연간 1,000㎜ 정도로 강수량이 비교적 적으며, 생육기간 중 연평균 일교차가 13.4℃로 매우 크므로 경도, 당도, 착색 향상에 매우 유리함
기술적 여건
- 1995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키낮은 사과원을 도입하였으며, 1999년부터 대묘생산 및 표준과원운영 등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 농업기술센터의 사과대학운영, IPM 단지조성 등 사과 선진 재배기술의 조기도입으로 타지역에 비해 한단계 높은 재배기술을 유지하고 있으며, 1999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110만주 정도의 왜성대목, 50만주 정도의 묘목을 보급해 오고 있음
유통 여건
- 전국 생산량의 1/10인 59,000톤 정도 생산을 유지함으로 물량기반 확보
- 2008. 12. 19 지식경제부로부터 청송사과 특구지정
- 2009년 지역 이미지에 걸맞는 "자연을 노래하다, 청송"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해 오다가 2016년 부터 "청송뜨레"를 공동브랜드로 개발하여 사용
- 2002년 산지유통센터 건립, 2009년 농‧특산물직판장 건립, 2010. 01월 청송APC 준공, 2011.09월 과채주스공장 건립, 농협, 능금농협 등의 유통시설 확충, 2019. 8월 청송사과유통센터 위탁운영, 2019. 11월 청송군농산물 공판장 개장 운영으로 유통기반 확충 및 산지유통 활성화 기반 마련
- 특히, 청송사과유통센터, 지역농협 및 능금농협의 APC, 민간 영농조합법인 및 개별농가의 저온저장고 등으로 생산량의 70~80% 정도의 저온저장시설 보유
- 농림부에서 주최·주관한 농식품파워브랜드 대전에서 2008~2009년 2년 연속 최우수상, 2010년 대통령상을 비롯, 대한민국대표 브랜드대전에서 2013~2019년 까지 7년 연속 대상 수상, 2016년 글로벌브랜드 대상 수상 등으로, 우리나라 최고의 브랜드 가치와 품질의 우수성을 평가받고 있음
- 당진⇔영덕 간 고속도로 건설로 전국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하고, 세계지질공원, 국제슬로우시티 지정 등과 연계하여 청송사과 홍보에도 유리한 여건을 지니고 있음
인적 여건
- 농업기술센터에서의 친환경사과대학운영, GAP 인증교육 등 지속적 농가육을 통한 기술 인프라 구축
- 난립한 생산자 조직으로 인해 조직간 이기 및 개인주의가 만연하고 또 이로 인해 청송사과 생산 및 유통발전이 크게 저해되어, 2009년 청송사과협회를 결성하여 사과산업 공동발전을 위한 생산자 조직중 핵심적 역할을 수행토록 함
재배·생산현황
재배·생산현황
구분, 전국, 경북도, 청송군, 비고의 항목으로 재배·생산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표
구분 |
전국 |
경북도 |
청송군 |
비고 |
면적(㏊) |
생산량(톤) |
면적(㏊) |
생산량(톤) |
면적(㏊) |
생산량(톤) |
면적기준 점유율 |
전국대비 |
경북대비 |
2019년 |
32,954 |
535,324 |
19,462 |
338,085 |
3,423 |
60,929 |
10% |
17% |
|
2018년 |
33,234 |
539,387 |
22,987 |
439,730 |
3,339 |
62,614 |
10% |
14.5% |
|
2017년 |
33,601 |
545,349 |
23,403 |
483,723 |
3,363 |
64,403 |
10% |
14% |
|
-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감소추세에 있으며, 우리군 또한 감소 추세임
※ 도 기준 재배면적 순위 : 1위 청송, 2위 안동, 3위 영주, 4위 의성
고품질 사과생산을 위한 주요 지원사업
FTA기금 고품질시설현대화사업
FTA기금 고품질시설현대화사업
구분, 사업량(㏊), 사업비(백만원), 비고의 항목으로 FTA기금 고품질시설현대화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표
구분 |
사업량(㏊) |
사업비(백만원) |
비고 |
계 |
국비 |
도비 |
군비 |
자부담 |
계 (6종) |
617 |
5,600 |
1,120 |
505 |
1,176 |
2,799 |
|
품종갱신 |
67 |
3,954 |
791 |
356 |
830 |
1,977 |
|
관수시설 |
14 |
95 |
19 |
9 |
20 |
47 |
|
지주설치 |
7 |
102 |
20 |
9 |
22 |
51 |
|
철선울타리 |
26 |
196 |
39 |
18 |
41 |
98 |
|
방풍망 |
1 |
43 |
9 |
4 |
9 |
21 |
|
GAP지원 |
303 |
1,210 |
242 |
109 |
254 |
605 |
|
※ 지하수 오염 및 고갈방지를 위해 관정은 2018년 부터 세부지원사업에서 제외
과실·생산 수급 경쟁력 지원사업
과실·생산 수급 경쟁력 지원사업
세부사업별, 단위, 수량, 사업비(백만원), 비고의 항목으로 과실·생산 수급 경쟁력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표
세부사업별 |
단위 |
수량 |
사업비(백만원) |
비고 |
계 |
도비 |
군비 |
자부담 |
계 (4종) |
|
|
1,372 |
118 |
473 |
781 |
|
농가형 저온저장고 |
동/33㎡ |
29 |
580 |
58 |
232 |
290 |
|
과원전용 농기계 |
승용예초·리프트기 |
대 |
41 |
370 |
37 |
148 |
185 |
|
SS기 |
대 |
19 |
380 |
19 |
76 |
285 |
|
주행형분무기 |
대 |
7 |
42 |
4 |
17 |
21 |
|
과실 품질향상 지원사업
과실 품질향상 지원사업
세부사업별, 단위, 수량, 사업비(백만원), 비고의 항목으로 과실 품질향상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표
세부사업별 |
단위 |
수량 |
사업비(백만원) |
비고 |
계 |
도비 |
군비 |
자부담 |
계(6종) |
|
|
2,728 |
29 |
1,018 |
1,681 |
|
반사필름 |
롤 |
10,000 |
1,200 |
|
360 |
840 |
|
과실봉지 |
천매 |
6,600 |
180 |
|
54 |
126 |
|
과원 부직포 |
롤 |
2,000 |
150 |
|
45 |
105 |
|
꽃가루 인공수분기 |
개 |
120 |
108 |
|
43 |
65 |
|
친환경사과적화제 |
㏊ |
90 |
26 |
3 |
10 |
13 |
|
과실장기저장제 |
㎡ |
32,242 |
1,064 |
26 |
506 |
532 |
|
저품위사과 시장격리용 수매비용 지원사업
저품위사과 시장격리용 수매비용 지원사업
수매기관별, 단위(상자), 수량, 사업비(천원), 비고의 항목으로 저품위사과 시장격리용 수매비용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표
수매기관별 |
단위(상자) |
수량 |
사업비(천원) |
비고 |
계 |
도비 |
군비 |
수매기관 |
|
|
|
1,000,500 |
135,000 |
348,000 |
517,500 |
|
대구경북능금농협 |
상자/20㎏ |
90,000 |
720,000 |
135,000 |
315,000 |
270,000 |
|
㈜우양냉동식품 |
상자/21㎏ |
16,500 |
280,500 |
|
33,000 |
247,500 |
|